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에는 설정에 따라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iPhone이나 안드로이드의 사진 앱에서 표시되는 「○○시에서 촬영」이 이에 해당합니다.
본 기사에서는 사진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메커니즘과 그로 인한 리스크, 그리고 안전하게 사진을 공유하는 대책에 대해 설명합니다.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에는 촬영 날짜와 카메라의 설정 정보뿐만 아니라 GPS에 의한 위치 정보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위치 정보는 「Exif(엑스이프)」라는 메타데이터로 기록되어 촬영 장소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Phone의 「사진」 앱에서는 사진을 열면 촬영 장소가 지도에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AirDrop이나 이메일,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해 사진을 공유할 경우, Exif 정보가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iPhone의 경우:
안드로이드의 경우:
이로 인해 앞으로 촬영하는 사진에는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게 됩니다.
iPhone 사용자용 앱:
안드로이드 사용자용 앱:
공유 전에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에는 무심코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정보가 제3자에게 넘어가면 프라이버시 침해나 스토커 피해 등의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안전하게 공유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위치 정보 설정을 끄고, 기존 사진에서 위치 정보를 삭제하며, 공유 방법에 주의하는 등의 대책이 중요합니다.
또한, 대용량 파일을 안전하게 공유하고 싶다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업로더 UploadF 이용도 고려해 보십시오.
PC나 스마트폰에서 드래그 앤 드롭으로 쉽게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최대 100개의 파일을 동시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저장 기간은 1개월이며, 개별 파일 삭제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안전성을 중시한 설계로 안심하고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